search
빠른 검색을 위해 입력해보세요
⌘K 빠른 열기 Enter 검색 ESC 닫기

"제로 플라스틱" 검색 결과

"살아있음에 우리는 지속한다." 숨의 철학, 브레스저널의 길

삶과 죽음은 대립하는 개념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둘을 꿰뚫는 공통점은 순환이다. 브레스저널이 내세운 슬로건 “살아있음에, 우리는 지속한다(In living, we sustain)”는 이 순환의 철학을 담는다. 숨은 단순한 호흡이 아니다. 들숨과 날숨은 순환을 만들고, 깊은 호흡은 치유를 불러오며, 이어지는 호흡은 곧 지속의 증거가 된다. 살아간다는 것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흐름이며, 그 이어짐이 곧 지속을 낳는다. 이 칼럼은 환경, 내면, 전통이라는 세 갈래 속에서 그 숨의 철학을 바라본다.
느린 합의를 강하게 만드는 법 제네바 이후 한국의 선택

느린 합의를 강하게 만드는 법 제네바 이후 한국의 선택

2025년 8월 제네바에서 열린 UN 글로벌 플라스틱 협약(INC-5.2)은 최종 문안 채택에 이르지 못했다. 이번 결렬은 판을 바꾸라는 신호로 읽힌다. 조약이 멈춰 있어도 도시의 조달과 기업의 바잉 가이드가 규범을 앞서 만들고, 한국은 버진 절대감축·재사용 표준·독성 투명성으로 느리지만 약하지 않은 합의를 준비해야 한다.
300년 절제의 미학, 경주 최부자댁에서 '오래된 미래'를 만나다

300년 절제의 미학, 경주 최부자댁에서 '오래된 미래'를 만나다

경주의 가을볕이 교동마을 고택의 담장을 차분히 비춘다. 12대에 걸쳐 약 300년간 나눔과 절제를 실천해 온 경주 최부자댁의 정신이 깃든 ‘하우스오브초이 카페 이스트1779’에서 미래를 고민하는 공예가들의 장이 열렸다.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이 공예 마켓은 2025 APEC 정상회의와 연계된 ‘2025 한국공예전_미래 유산’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