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은 기적이었지만,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 빚이었습니다 레오 베이클랜드(1863~1944). 1907년, 인류 최초의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Bakelite)’를 발명한 화학자. 불에 타지 않고, 전기를 절연하며, 가볍고 튼튼한 이 재료는 곧 기적의 물질”이라 불리며 20세기 산업과 일상의 풍경을 바꿨다. 2025. 10. 28. 오후 7:03:56
다시 한복, 지속 가능한 옷 입기를 제안하다 옷장 앞에서 우리는 종종 망설인다. 유행은 빠르고 옷은 넘쳐나지만, 정작 입을 옷은 없다는 감각. 패스트 패션 시대의 이 모순적인 풍경 속에서, 가장 오래된 우리의 옷 한복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025. 10. 23. 오후 3:18:38
"살아있음에 우리는 지속한다." 숨의 철학, 브레스저널의 길 삶과 죽음은 대립하는 개념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둘을 꿰뚫는 공통점은 순환이다. 브레스저널이 내세운 슬로건 “살아있음에, 우리는 지속한다(In living, we sustain)”는 이 순환의 철학을 담는다. 숨은 단순한 호흡이 아니다. 들숨과 날숨은 순환을 만들고, 깊은 호흡은 치유를 불러오며, 이어지는 호흡은 곧 지속의 증거가 된다. 살아간다는 것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는 흐름이며, 그 이어짐이 곧 지속을 낳는다. 이 칼럼은 환경, 내면, 전통이라는 세 갈래 속에서 그 숨의 철학을 바라본다. 2025. 10. 23. 오후 3:17:37
느린 합의를 강하게 만드는 법 제네바 이후 한국의 선택 2025년 8월 제네바에서 열린 UN 글로벌 플라스틱 협약(INC-5.2)은 최종 문안 채택에 이르지 못했다. 이번 결렬은 판을 바꾸라는 신호로 읽힌다. 조약이 멈춰 있어도 도시의 조달과 기업의 바잉 가이드가 규범을 앞서 만들고, 한국은 버진 절대감축·재사용 표준·독성 투명성으로 느리지만 약하지 않은 합의를 준비해야 한다. 2025. 10. 20. 오후 12:14:40
플라스틱 국제협약, 부산 이어 추가 협상도 '빈손'... 교착 상태 장기화 '생산 감축' VS '재활용 확대' 입장차 여전, 국제사회 표류 2025. 10. 14. 오후 1:52:14
흔들린 제로 플라스틱 재정비 안내서 정책은 많았지만 현장은 자주 멈췄다. 신호가 흔들리니 가게와 시민은 헷갈렸고 기업은 투자 시점을 미뤘다. 이제는 구호보다 작동하는 규칙과 숫자가 필요하다. 2025. 9. 19. 오후 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