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합의를 강하게 만드는 법 제네바 이후 한국의 선택 2025년 8월 제네바에서 열린 UN 글로벌 플라스틱 협약(INC-5.2)은 최종 문안 채택에 이르지 못했다. 이번 결렬은 판을 바꾸라는 신호로 읽힌다. 조약이 멈춰 있어도 도시의 조달과 기업의 바잉 가이드가 규범을 앞서 만들고, 한국은 버진 절대감축·재사용 표준·독성 투명성으로 느리지만 약하지 않은 합의를 준비해야 한다. 2025. 10. 20. 오후 12:14:40
제주 해녀의 숨비소리, 싱가포르의 심장을 울릴까 제주 ‘해녀의 부엌’, 싱가포르 법인 설립하고 2025년 10월 첫 해외 프로젝트 준비. 지역 상생 모델의 세계화 가능성 주목. 2025. 10. 20. 오후 12:08:10
300년 절제의 미학, 경주 최부자댁에서 '오래된 미래'를 만나다 경주의 가을볕이 교동마을 고택의 담장을 차분히 비춘다. 12대에 걸쳐 약 300년간 나눔과 절제를 실천해 온 경주 최부자댁의 정신이 깃든 ‘하우스오브초이 카페 이스트1779’에서 미래를 고민하는 공예가들의 장이 열렸다.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이 공예 마켓은 2025 APEC 정상회의와 연계된 ‘2025 한국공예전_미래 유산’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다. 2025. 10. 10. 오후 3:35:34
흙으로 빚은 망치 소리, 백 년 장인의 숨결을 담다 장인의 강직한 삶이 건축의 서사가 되었다. 문경의 방짜유기 박물관에서 건축은 유물을 보여주는 역할을 넘어, 시련을 이겨낸 한 인간의 삶을 흙과 빛으로 오롯이 되새긴다. 2025. 10. 1. 오후 1:09:25
정의로운 전환의 조건 아리셀 화재 1심이 남긴 질문 수원지법이 아리셀 화성 공장 화재 사건 1심에서 경영진에게 징역 15년을 선고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최고 수준의 형량이다. 법원은 예견 가능한 위험을 방치한 책임을 인정했고, 전환의 속도 앞에서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지가 남은 질문이 됐다. 2025. 9. 24. 오전 10:50:32
[BIFF 2025 기획] 환경과 전통, 스크린이 던지는 네 편의 이야기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가 막을 올렸다. 64개국 241편의 공식 초청작, 커뮤니티비프까지 포함하면 328편의 영화가 열흘 동안 부산을 채운다. 그 가운데 환경과 전통을 다룬 네 편의 작품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우리가 살아가는 조건과 뿌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2025. 9. 18. 오후 7:28:15